Mir 170

Chapter1-2 변수의 범위 _&A

현 블로그는 모바일 환경이 아닌 PC환경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Mir의 운영환경 public class Test1_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byte a = 10; // a라는 byte형 변수에 10의 값을 저장하였다. byte b = 30; // b라는 byte형 변수에 30의 값을 저장하였다. byte c = (byte)(a*b); //c라는 byte형 변수에 a*b의 값을 byte형으로 //형변환을 하여 넣어주었다. System.out.println(c); //c를 출력하였다. } } 1. 위 문제는 겉으로 보기에는 아무 이상없다. 심지어 프로그래밍을 끝내고 출력을 한다해도 오류가 나지 않는다. 하지만 출력값을 보면 44가 나오게 된다. 10 ..

Java/Java_A 2011.09.20

Chapter1-2 변수의 범위 Q&_(자바기초문제)

현 블로그는 모바일 환경이 아닌 PC환경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Mir의 운영환경 public class Test1_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byte a = 10; byte b = 30; byte c = (byte)(a*b); System.out.println(c); } } 1. 위 식에서 틀린부분을 찾아 고치세요. 2. a = 0.101 b = 0.899 c = (a +b) 를 대입하여 더해 보아라. [정답보러가기] ------------------------------------------------------------------------------------ 본 블로그의 글을 퍼가실때 꼬릿말, 퍼가시는곳 주소를 꼭 남겨주세요. 출처 꼭 기재..

Java/JavaQ_ 2011.09.20

Chapter1-1 변수의 출력 _&A

현 블로그는 모바일 환경이 아닌 PC환경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Mir의 운영환경 public class Test1_1 { // Test1_1이라는 클레스를 만들었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메인메소드를 호출하였다. String a = 10 + 7 + "";//왼쪽부터 계산을 하면 17 + "" 가 된다. 출력값은 17이다. String b = 8 + "" + 2; //숫자와 문자값이 +되면 그 숫자는 문자값이 되어버린다. String c = "" + 5 + 2; //왼쪽부터 계산을 할때 "" + 5 의 결과는 문자값 "5"가 되어버린다. System.out.println(a); //출력값은 17이다. System.out.println(b); //출..

Java/Java_A 2011.09.20

Oracle Chapter10. 트랜잭션 관리(Commit, RollBack) (오라클 입문자용)

현 블로그는 모바일 환경이 아닌 PC환경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Mir의 운영환경 자 이번Chapter에서는 데이터베이스의 가장 중요한 개념인 트랙잭션에 대해 배워보자. 트랜잭션(Transaction) 트랙잭션이란 데이터 처리의 한 단위이다. 오라클에서 발생하는 여러개의 SQL명령문들을 하나의 논리적인 작업단위로 묶은 것이다. 자 예를 들어 test1이라는 테이블을 만들고 난뒤 1과 3이라는 컬럼을 추가시키고 1이라는 컬럼에 2라는 값을 넣었다. 그리고 난뒤 3이라는 컬럼에 4라는 값을 추가시키고 난뒤 1의 컬럼의 값을 2에서 5로 수정하였다. 위 글에 사용된 명령어를 살펴보면 CREATE, ALTER, INSERT, INSERT, UPDATE 이렇게 5개의 명령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위에서 사용된 모든..

DBMS/Oracle 2011.09.20

Oracle Chapter9. 테이블에 데이터 추가 및 수정, 삭제하기(데이터 조작어 DML) (오라클 입문자용)

현 블로그는 모바일 환경이 아닌 PC환경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Mir의 운영환경 이전 Chapter에서 테이블의 생성 및 수정, 삭제하는 DDL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 Chapter에서는 만들어진 테이블내에 DML(데이터 조작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추가, 수정, 삭제까지 해보도록 하자. DML이란 스키마 객체의 데이터를 입력(INSERT), 수정(UPDATE), 조회(SELECT), 삭제(DELETE)를 하거나 테이블의 잠금(LOCK TABLE), SQL문의 처리에 대한 정보입수(EXPLAIN PLAN), PL/SQL 모듈을 호출(CALL)등을 수행하는 문장의 집단이다. 각 명령어는 INSERT, UPDATE, DELETE, SELECT, LOCK TABLE, EXPLAIN PLAN, CALL등으로..

DBMS/Oracle 2011.09.09

Chapter1-1 변수의 출력 Q&_(자바기초문제)

현 블로그는 모바일 환경이 아닌 PC환경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Mir의 운영환경 public class Test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a = 10 + 7 + ""; String b = 8 + "" + 2; String c = "" + 5 + 2; System.out.println(a); // ----- 1 System.out.println(b); // ----- 2 System.out.println(c); // ----- 3 }} 위 1번 2번 3번의 출력값을 예상해 보세요. [정답보러가기] --------------------------------------------------------------------------------..

Java/JavaQ_ 2011.09.02

Oracle Chapter8. 테이블 생성 및 변경, 삭제하기(데이터 정의어 DDL) (오라클 입문자용)

현 블로그는 모바일 환경이 아닌 PC환경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Mir의 운영환경 지금지 미리 만들어진 연습용 테이블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여려형식으로 출력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그럼 이번 Chapter에서는 DDL(데이터 정의어)를 이용하여 테이블을 직접 생성 및 변경, 삭제까지 해보도록 하자. DDL이란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객체를 생성(CREATE), 변경(ALTER), 제거(DROP)을 하거나 권한의 부여(GRANT)나 박탈(REVOKE), 주석(COMMENT) 및 자료의 버림(TRUNCATE)등을 수행하는 문장의 집단이다. 각 명령어는 CREATE, ALTER, DROP, TRUNCATE, GRANT, REVOKE, COMMENT등으로 시작하는데 이 밖에도 많은 종류의 DDL이 존재하..

DBMS/Oracle 2011.08.30

Oracle Chapter7. 서브 쿼리 (오라클 입문자용)

현 블로그는 모바일 환경이 아닌 PC환경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Mir의 운영환경 (필자가 맥 vmware위에 리눅스를 올려서 오라클을 깐다고 이틀동안 고생했다 ㅠㅠ.. 아무튼 이번 Chapter부터 출력문의 색상과 양식이 다를것이다. ;; 차차 다른 챕터도 똑같이 수정하겠다 ; ㅁ;) 자 이번 Chapter에서 배울것은 서브쿼리문이다 앞서 Chapter에서 조인문을 배울때 두개의 명령을 내려 구할수 있는 값을 테이블을 조인해주어 하나의 명령으로 구해보았다. 서브쿼리문도 두개의 명령을 사용하여 얻는 결과값을 하나의 명령으로 만드는 것인데 조인문처럼 테이블을 연결시키는것이 아니라 하나의 테이블에서 검색한 결과를 다른 테이블에 전달하여 검색하는것이다. 말보다 한번 서브쿼리문으로 SMITH의 부서명을 구해보자..

DBMS/Oracle 2011.08.29

Oracle Chapter6.조인(JOIN) (오라클 입문자용)

현 블로그는 모바일 환경이 아닌 PC환경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Mir의 운영환경 지금까지 하나의 테이블에 대한 SQL 명령어를 살펴보았다. 대충 대충 자주쓰는 명령어만 배웠는데도 머리속이 복잡하다. 물론 명령어를 100%외우면 좋지만 정말 모든 명령어를 100%외우기란 몇몇 천재들 빼고는 불가능할것이다. 필자는 포스트쓰면서 몇번이고 반복하는데도 계속 까먹는다.;; 하지만 어떤 기능을 가진 무엇인가 있다는것은 기억하기 때문에 필요하면 찾기라도 한다. 필자의 포스트를 읽고 있는사람도 그정도는 되어야 한다! 그럼 이제부터 한개이상의 테이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조회해보는 방법을 배워보자. 아래 두개의 테이블이 있다. 하나는 우리가 계속 사용했던 사원(emp)테이블 그리고 나머지 하나는 몇번 본적은 있을듯한 부..

DBMS/Oracle 2011.08.27

Oracle Chapter5. 그룹함수 (오라클 입문자용)

현 블로그는 모바일 환경이 아닌 PC환경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Mir의 운영환경 그룹함수란? 그룹함수는 전체 데이터를 그룹별로 구분하여 통계적인 결과를 구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는 함수이다. 앞서 Chapter4에서 배운 함수는 각각의 값을 변화시키는 것이였다면 그룹함수는 그 값들의 평균, 합계, 최소값, 최대값등을 구하는것이다. SUM - 해당 컬럼의 행들의 합계를 구한다. ex) select SUM(sal) from emp; --> emp테이블에서 월급(sal)컬럼의 합계를 구하라. AVG - 해당 컬럼의 행들의 평균을 구한다. ex) select AVG(sal) from emp; --> emp테이블에서 월급(sal)컬럼의 평균을 구하라. MIN - 해당 컬럼의 행중에 최소값을 구한다. MAX - 해..

DBMS/Oracle 2011.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