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P 5

JSP.Chapter5 Servlet의 기본개념과 사용법 2 (Post방식)

현 블로그는 모바일 환경이 아닌 PC환경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Mir의 운영환경 이전 Chapter에서 우리는 get방식의 전송을 사용하여 서블릿을 완성시켜 보았다. 이번 Chapter에서는 post방식을 한번 사용해보자. post방식은 get방식의 Query String을 이용하지 않고 내부적인 소스로 이동이 된다. 그럼으로 주소표시줄에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get방식보다 보안성이 뛰어나다. 하지만 get방식보다 조금은 느리다는 단점이 있지만 비밀번호나 아이디등 개인정보를 전송할때에는 보안성이 뛰어난 post방식을 사용해주어야 한다. 또한 get방식보다 대용량의 Data를 전송할수 있기때문에 게시판의 글등을 데이터베이스로 보낼때에도 post방식을 사용한다. post방식이나 get방식이나 서블릿에서 사..

JSP 2011.10.25

JSP.Chapter4 Servlet의 기본개념과 사용법 2 (Data get, 한글 설정)

현 블로그는 모바일 환경이 아닌 PC환경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Mir의 운영환경 자 이전 Chapter3에서 서블릿의 기본개념과 문자를 출력해보는 방법을 배워보았다. 이번엔 서블릿을 이용하여 Data를 받고 난뒤 charset까지 맞추는 방법을 해워보자. 우선 간단히 이름과 아이디를 전송하는 html 파일을 만들어 보자. 서블릿을 이용한 파라미터 전달... 이름 아이디 이정도 간단한 html은 할줄 알아야 한다. (필자가 예전에 정리해둔 텍스트 파일이 사라져서 다시 정리할려면 조금 오래 걸릴듯 하다 ㅠㅠ) 아무튼 위 HTML에서 제일 중요한것이 전송방식(method)의 두종류 post와 get이다. 이번파트에서는 get방식을 기본으로 진행하겠다. get방식은 주소창을 이용하여 값을 보내는 방식이라고 생..

JSP 2011.10.23

JSP.Chapter3 Servlet의 기본개념과 사용법 1

현 블로그는 모바일 환경이 아닌 PC환경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Mir의 운영환경 JSP를 배울때 Servlet을 대충 배우고 넘어가는 학원도 많고 그런 책들도 많다. Servlet은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하지만 JSP를 사용하면 자동으로 Servlet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굳이 알아둘 필요성이 없다고 말하기도 한다. 필자는 아직 초보라서 잘 모르겠지만 서블릿에 대한 기본개념은 확실하게 알아두고 가는편이 좋다고 생각한다. (참고로 어떤 강사는 서블릿을 단 1시간도 안걸려서 설명하고 넘어간적이 있다.) 아무리 자동으로 변환되어서 쓸일이 없다 하지만 JSP가 어떻게 변환되고 코딩되어 웹상에서 쓰이는지도 모른다면 반쪽짜리 프로그래머가 될꺼라는 개인적인 견해이다. 아무튼 필자의 개인적인 견해닌깐 너무 심각하게 듣지..

JSP 2011.10.22

JSP.Chapter2 JDBC_JAVA로 DB연결 및 SQL구문 실행하기 2

현 블로그는 모바일 환경이 아닌 PC환경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Mir의 운영환경 이전 챕터에서 우리는 DB접속까지 배워보았다. 이제 남은것은 3가지이다. 다시 한번말하지만 DB와의 연결과 실행시 꼭 지켜야될 5가지순서를 꼭 기억해두길 바란다. 1. Drivers Loding 2. DB접속 3. SQL실행 준비 4. SQL실행 5. DB접속 종료 자 그럼 SQL실행 준비를 해보자. 3.SQL실행 준비 자 DB를 연결 한뒤 무엇을 해야 될까? sql구문을 적어서 DB에 전송하여 그 sql문에 대한 값을 가져오면 되는것이다. sql구문을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Statement타입의 객체를 이용해야 한다. Statement 객체는 차라고 생각하면 된다. Connection으로 DB에 연결하는 길을 ..

JSP 2011.10.22

JSP.Chapter1 JDBC_JAVA로 DB연결 및 SQL구문 실행하기 1

현 블로그는 모바일 환경이 아닌 PC환경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Mir의 운영환경 우리가 JSP로 많은일을 하지만 그중에 가장 기본으로 배우는 것이 게시판이다. 생각해보자 수많은 사람들이 게시판을 읽고 글을 쓰고 수정을 한다. 만약 내가 게시판의 글을 읽을 때 혹은 글을 쓸때 그 글이 어디에 저장되며 어디서 가져올까? 바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가져오는 것이다. JSP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웹 프로그래밍 언어는 데이터베이스와 뗄수 없는 관계이다. 각 언어마다 데이터베이스와의 연결 방법은 조금씩 다른데 JAVA에서는 Database관련 작업을 할때 사용하는 Package를 JDBC(Java DataBase Connectivity)라고 부른다. 이 JDBC를 이용시 최대의 장점은 Interface기반으로 ..

JSP 2011.10.22